본문 바로가기
건강

(건강) 임신여부를 판별하는 hCG검사 / hCG검사란? / hCG수치별 임신주수

by 해시닝 2022. 1. 23.
728x90
반응형


생리가 늦어지거나 임신을 기다리고 계신 분들이 임신여부를 확인하려고 쓰는 임신테스터기!!

저도 대박이를 임신했을 때 생리예정일이 지나고나서부터 매일 아침마다 테스터기를 사용했던 것 같아요.
얼리테스트기부터 일반 테스터기까지 다요 ^^
병원에서 임신을 확인할 때는 hCG 검사를 진행하는데요, 사람융모성성선자극호르몬이라고 불리는 hCG는 임신한 여성의 태반에서 생성돼 임신 유지를 도와주는 호르몬입니다.
임신을 했을 때만 생성이되서 임신테스터기에서도 확인이 가능한거지요.




hCG 검사란?
혈액이나 소변의 hCG 농도를 측정해 임신을 확인하고, 융모성 질환이나 생식세포 종양을 진단하는 검사다.

어떤 검사인가요?
아침에 처음 채취한 소변 검체나 팔에서 혈액을 채혈해 호르몬 농도를 확인한다. hCG 호르몬은 수정란이 여성의 자궁 내에 착상되는 시기인 월경 예상일에서 10일가량 지난 후에 측정할 수 있다.
검사 전 특별한 준비가 필요하지 않다. 단, 소변 검사 시 지나치게 희석된 소변은 정확한 측정에 방해되므로 다량의 수분 섭취는 피하는 것이 좋다.

누가, 언제 받아야 하나요?
임신을 확인하기 위해 hCG 검사를 시행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 또한 자궁외임신 및 난임 진단 그리고 유산 후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하기도 한다.
융모성 질환이나 고환 및 난소의 생식세포 종양을 진단하고 치료 효과를 감시하고, 재발 여부를 알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검사를 시행한다.

hCG 검사 결과 해석

- 정상 소견
· 3주 6~70 mIU/mL
· 4주 10~750 mIU/mL
· 5주 200~7,000 mIU/mL
· 6주 160~32,000 mIU/mL
· 7주 3,000~160,000 mIU/mL
· 8~12주 32,000~210,000 mIU/mL
· 13~16주 9,000~71,000 mIU/mL
· 16~29주 1,400~53,000 mIU/mL
· 29~41주 940~60,000 mIU/mL


"hCG 수치가 정상이에요."

임신하지 않은 여성에서는 hCG가 검출되지 않는다. 정상 임신인 경우에는 hCG 호르몬이 태반에서 분비돼 48시간마다 두 배로 증가한다.
hCG 수치가 1,300 mIU/mL를 넘으면 질 초음파에서 태낭이 보이고, 6,500 mIU/mL를 넘으면 복부 초음파에서 태낭이 보인다. 주수에 따른 hCG 수치 확인을 통해 임신이 잘 유지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 이상 소견

"hCG 수치가 정상보다 높거나 낮아요."
주수에 따른 평균 수치보다 높게 나타난다면, 다태 임신이거나 임신성 융모성 종양 등이 있을 수 있다. 반면, 평균보다 수치가 낮다면 유산 위험이 있을 수 있고, 수치의 증가가 더디다면 자궁 외 임신을 의심할 수 있다.


포스팅을 하다보니
대박이 임신 사실을 알았을 때 테스터기에서 희미한 두 줄을 보고
병원에가서 피검사를 통해서 4주 정도가 되었다는 진단을 받고 너무너무 기뻐했던 기억이 납니다.
임신 준비를 하시는 모든 분들에게 예쁜 아기천사가 찾아오길 저도 기원합니다.


 

*참고 및 출처 : 하이닥

728x90
반응형

댓글